반응형

 

 

 

 

 

 


[결혼에 드는 비용, 현실적인 결혼] 청첩장, 결혼식 순서지, 결혼 도우미

(촬영,축의금 수납, 정산 등)


 

 

* 청접장

청첩장은 결혼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메신저의 역할을 한다. 기존엔 종이 청첩장을 주로 사용했다면 최근에는 모바일 청첩장이 대세다. 물론 종이 청첩장을 주문.제작하면 모바일 청첩장 제작을 같은 회사에서 만들어주거나 할인 혜택을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터넷에 '청첩장'을 검색하면 다양한 청첩장 주문.제작 사이트들이 나온다. B사 D사 M사 등이 매우 유명하다. 종이 청첩장은 보통 100장 제작에 약 10만원, 300장 제작에 약 20만원, 500장 제작에 약 30만원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물론 각종 패키지를 활용할 수 있고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청첩장에는 사진을 넣는 부부들도 있고 내용만 간단하게 알리는 부부들도 있다. 청첩장에는 인사말, 일시, 장소, 결혼식장 약도, 달력 등이 포함된다고 보면 된다. 인사말에는 부부의 '가치관'이 담기는 문구를 써 넣는다. 

청첩장은 가족과 직장에는 직접 종이로 전달해드리는 경우가 많다. 종이를 드리고 혹시 못 받으신 분들을 위해 추가로 모바일 청첩장도 보내드리기도 한다. 아무래도 종이로 청첩장을 드리는 분들은 오랜 시간 봐온 사이이거나 앞으로도 마주대할 시간이 많을 분들일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또한 결혼식이 성사되기 전까지 식수 인원이나 결혼식의 전체적인 그림에 가장 큰 변수가 되는 관계들이기에 보다 큰 정성을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최근에는 청접장과 더불어 감사장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감사장은 결혼식을 도와주신 분들이나 결혼을 하기까지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보다 정성껏 현금이나 상품권을 전달해드리기 위한 봉투다.

 

청첩장은 최소 한 달 전에는 배부가 끝나야 할 것이다. 그래야 혹시라도 놓친 분들에게 전달해드릴 수 있다. 따라서 보통 2개월 전에 청첩장을 돌려서 미리 시간을 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청첩장이 주문.제작 되는 1주~2주 정도의 시기를 고려하여 미리 계획하는 것이 좋다. 

 

*어떤 형식의 청첩장을 주문.제작할 것인가?

*어떤 업체에 의뢰할 것인가?

*양가 부모님께서도 청첩장 디자인을 만족해 하시는가?

*신랑측 신부측 청첩장 수는 각각 몇 장인가?

*가족, 직장 등에 청첩장을 드릴 때 같이 찾아 뵐 것인가? 따로 찾아 뵐 것인가?

*청첩장 350장(신랑측 200/ 신부측 150) = 약 240,000원

 

* 결혼식 순서지

결혼식 순서지는 하기도 하고 안하기도 한다. 작은나무와 종달새는 예배 형식의 결혼예식이었기에 순서지를 따로 제작하였다. 예배 형식의 결혼식 순서지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업체에 인터넷으로 의뢰하였고 결과는 대만족이었다. 

 

*결혼식 순서지를 만들 것인가?

*어떤 형식을 원하는가?

*양가 부모님께서 디자인을 만족해 하시는가?
*결혼식 순서지 500장(신랑측 300/ 신부측 200) = 약 80,000원

 

*결혼식 도우미

결혼식을 할 때 신랑측과 신부측에는 도우미가 필요하다. 결혼식의 규모와 방법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겠지만 보통 축의금을 걷는 인원이 필요하고, 사진이나 영상을 찍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또한 결혼식 자체에 필요한 사회자, 축가자, 순서 맡은 사람들이 필요하다. 축의금은 가족 중에서 형제.자매 혹은 또래에 해당하는 사람이 맡아주는 경우가 많다. 나의 경우 고향 친구들이 축의금을 맡아 주었다. 직접 맡아주겠다고 먼저 제시해줘서 고마울 따름이었다. 생각보다 결혼식 인원이 많아서 축의금 정산이 결혼식 끝나고도 이어졌다. 노트북을 가져와서 엑셀에다가 정리를 하며 축의금을 받아줬다. 축의금을 받으며 식권도 배부한다. 따라서 이 역할 큰 돈과 결혼식에 대한 첫인상이기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혼식 당일에는 인사하느라 정신이 없어서 예식장 측에 의견을 이야기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의견을 대신 전달해줄 역할을 해줄 수 있는 도우미가 꼭 필요하다.

 

*결혼식 당일 축의금은 누가 받아 줄 것인가?(식권 및 결혼식 순서지 배부)

*결혼식 당일 웨딩 작가 외에 사진이나 영상을 남겨 줄 사람이 있는가?

*결혼식 당일 업체 측에 의견을 전달해줄 수 있는 신뢰할만한 사람이 있는가?

 

 

*웨딩 작가

결혼식 전에 스드메를 통해 사진을 찍었다면 결혼식 당일은 웨딩 사진을 찍는다. 보통 업체와 계약한다. 전문적으로 사진을 찍는 작가가 와서 사진을 찍어준다. 결혼식 전에 예식장 밖이나 실내 예쁜 곳에서 사진을 찍고, 결혼식의 순서 순서 마다 사진을 찍어 준다. 그리고 예식이 끝나고 무대 앞에서 가족이나 직장, 친구들끼리 따로 사진을 찍는 것도 웨딩 작가가 찍어 준다. 이와같은 웨딩 앨범 작업은 스드메 업체와 같이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예식장 측과 연계되어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업체나 예식장과 관계 없이 따로 진행할 수도 있다. 보통 결혼식이 끝나고 1달 후에 사진을 받아볼 수 있다.

 

*결혼식 당일 사진을 찍어 줄 작가가 있는가?

*어떤 업체인가?

*결과 샘플을 확인하였는가?

*금액은 합리적인가?
*웨딩 앨범 1,000,000원
-신랑신부용 앨범1개, 양가 부모님 앨범 2개, 원본usb 등

결혼식은 신랑.신부 두 사람만으로 완성될 수 없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도움이 필요하고, 당일날 특히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 면밀하게 살펴서 신뢰할만한 인물에게 적재적소의 역할을 부여하고 합당하게 보상해주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