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등학교 교실 반가 만들기를 통한 인성 교육 실천 방안(로이킴-봄봄봄 개사)


 

 

 






초등학교 교실 반가 만들기를 통한 인성 교육 실천 방안(로이킴-봄봄봄 개사)

6학년을 맡았다. 햇수로 4년 째 6학년을 담임을 맡고 있는 중이다. 그 중에서 학기 초 학급 운영을 위해 내가 꼭 실천하는 활동이 있다.

반가 만들기다.

반가는 서정적이거나 교훈적인(?) 내용의 가요를 주로 활용한다. 반가 만들기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노래 정하기

2. 단어 중간 중간 빈 칸으로 만들어 인쇄하기

3. 학급의 특징이나 ‘우리 반’과 관련한 빈칸에 단어로 자유롭게 작성하기

4. 가장 많이 겹치는 단어들 선정하기

5. 가사에 적용하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노래는 애국가이듯이, 우리 반을 대표할 수 있는 노래가 있다는 것은 교육적인 여러 의미가 있다.

1. 개인으로서의 인식에서 공동체로서의 인식으로 사고를 확장하게 해준다.

2. 나와 다른 사람의 공통점을 찾게 해준다.

3. 나와 다른 사람의 공통점은 서로를 이해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4. 노래에 포함된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음악교과 수업이 가능하다

5. 함께 속한 공동체라는 인식을 통해 ‘학교폭력’의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음악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음악을 통해 타인과 교감하거나 아름다움을 향유할 수도 있다. 음악은 새로운 영감의 원천이 되며 잠들어 있던 감정과 감수성을 깨워준다. 이처럼 공동의 목표인 반가 만들기 활동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에서는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함께 지도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